본문 바로가기
부동산

정부, 지방 미분양 해소·건설업 지원 대책 발표… 효과는?

by han235 2025. 2. 19.
[ 목 차 ]
●  1. LH, 지방 미분양 3000가구 매입… 실효성은?
●  2. 건설사 지원 대책… 8조 원 정책 자금 투입
●  3. 실질적인 부동산 활성화 대책은 부족
●  4. 향후 전망과 시사점

 

미분양

 

정부가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 LH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디딤돌 대출 우대금리 지원 등의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. 또한 중소 건설사에 8조 원 규모의 정책 자금 지원프로젝트파이낸싱(PF) 대출 관련 규제 완화도 함께 추진된다. 하지만 실질적인 수요 진작 대책이 빠져 있어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.

 

1. LH, 지방 미분양 3000가구 매입… 실효성은?

📌 LH의 미분양 매입 계획

  • 매입 대상: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호
  • 예산: 기존 매입임대 예산 3000억 원 활용 (추가 예산 투입 가능)
  • 공급 방식:든든전세주택’으로 활용 (6~8년 거주 후 분양 전환 선택)

📌 문제점
1️⃣ 수요 부족 지역의 미분양 매입 → 공실 우려

  • LH가 입지가 좋은 미분양 아파트를 분양가 70% 이하로 매입하더라도,
    임대 수요 자체가 적다면 장기 공실 가능성

2️⃣ LH 재정 부담 증가

  • 현재 LH 부채 154조5000억 원 → 2028년 236조 원 예상
  • 과거 2008~2010년 7058호 매입 사례에서도 고가 매입 논란 발생

3️⃣ 기존 분양자와 형평성 문제

  • 건설사가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각하면, 기존 분양자와의 형평성 논란

📌 대책의 한계
✅ 단기적으로 건설사의 재무 부담 완화 가능
❌ 하지만 근본적인 주택 수요 증가 대책이 빠져 있어 실효성 부족


2. 건설사 지원 대책… 8조 원 정책 자금 투입

정부는 중소 건설사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8조 원 규모의 정책 자금을 지원한다.

📌 정책 자금 지원 내용

  • 5조 원 → 채권시장 안정펀드 등 유동성 지원
  • 3조 원 → 산업은행·기업은행·신용보증기금 통해 대출·보증 지원

📌 책임준공 확약 완화

  • 기존: 기한 초과 시 PF 대출 전액 인수 → 건설사 부담 과도
  • 변경: 채무 인수 비율을 단계별 차등화
    • 30일 초과: 20%
    • 60일 초과: 40%
    • 90일 이상: 100%

📌 추가 지원책

  • 원자재 수급 불균형, 전염병 등으로 인한 준공 지연 시 기한 연장 허용
  • PF 보증 지원 확대 → 비아파트·비주택 사업도 포함
  • 2024~2025년 개발부담금 감면 (수도권 50%, 비수도권 100%)

📌 효과와 한계
건설사 유동성 위기 완화 가능
❌ 하지만 궁극적으로 주택을 구매할 ‘실수요자’ 증가 대책이 부족


3. 실질적인 부동산 활성화 대책은 부족

미분

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핵심 이유는 단순히 대출 규제 때문이 아니다.
📌 근본 원인:
집값 상승 기대감 부족 → 매수 심리 위축
취득세·양도세 부담 → 투자자 시장 이탈
장기적인 공급 과잉 → 지방 시장 침체

업계가 요구하는 대책

  • 취득세 중과 배제 또는 최대 50% 감면
  • 5년 이내 양도 시 양도세 100% 감면
  • 실수요자 대상 대출 한도 상향

하지만 이번 대책에는 포함되지 않음 → 단기적인 경기 부양 효과 제한적


4. 향후 전망과 시사점

LH의 지방 미분양 매입은 공실 문제와 형평성 논란 가능성 큼
건설사 지원책은 효과적이지만, 실질적 수요 확대 대책은 부족
부동산 활성화를 위해서는 세제 감면 등 추가 조치 필요

정부가 발표한 이번 대책은 단기적인 건설사 지원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, 부동산 시장 전반을 살릴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한계가 있다. 향후 추가적인 세제 감면 및 실수요자 지원책이 나올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