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목 차 ] |
● 🏘️ ‘노·도·강’ 아파트 가격, 왜 계속 떨어지나? |
● 🏢 강남 대형 아파트, 연일 신고가 경신! |
● 📊 서울 부동산 양극화 심화! ‘노·도·강’ 하락 vs ‘강남 대형 아파트’ 상승 |
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(노원·도봉·강북, ‘노·도·강’)은 집값이 하락하는 반면, 강남 대형 아파트는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
🔻 ‘노·도·강’ 아파트는 급매물이 늘어나며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고,
🔺 강남·서초·송파(강남3구) 대형 아파트는 희소성과 자산가들의 수요로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.
이 같은 현상은 고금리로 인해 대출 부담이 커진 서민층과, 대출 규제와 상관없이 자산을 운용하는 부유층 간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.
🏘️ ‘노·도·강’ 아파트 가격, 왜 계속 떨어지나?
서울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인 노원·도봉·강북(‘노·도·강’)의 집값 하락세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
📉 최근 하락 거래 사례
- 도봉구 방학동 신동아1단지 전용 70㎡ → 4억 200만원(8층) 거래
- 2021년 최고가(6억 8000만원) 대비 약 3억 하락!
- 노원구 상계동 미도아파트 국민형(전용 84㎡) → 최초 호가보다 5000만원 내린 7억 3000만원에 거래
- 상계주공1단지 전용 32㎡ → 3억 4000만원(5층) 거래
- 최고가(5억 5000만원) 대비 2억 하락!
- 강북구 번동솔그린 전용 84㎡ → 5억 7500만원(19층) 거래
- 2022년 초 6억 중후반대였던 가격이 6억 이하로 하락!
📊 노원·도봉·강북 매물 증가 & 거래량 감소
- 노원구 매물 수 증가: 5322건(작년) → 5944건(올해 2월 기준, 12% 증가)
-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 1월 아파트 거래량
- 노원구: 128건(전년 대비 65건 감소)
- 도봉구: 98건 → 51건 감소
- 강북구: 41건 → 31건 감소
📢 공인중개업소 반응
- 노원구 B공인중개사: “집이 안 팔리니 집주인들이 먼저 가격을 낮추자고 한다. 급매만 거래되고 있다.”
- 방학동 A공인중개사: “같은 평형대가 3억 후반대까지 내려가고 있다.”
📌 분석
1️⃣ 고금리 부담: 대출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한 매도자들이 급매물로 가격을 내리고 있음
2️⃣ 매수 심리 위축: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며 ‘더 떨어질 것’이라는 기대감으로 매수자들이 관망
3️⃣ 매물 증가 & 거래 감소: 가격 하락을 우려한 매도자들이 매물을 내놓지만, 거래가 되지 않아 매물이 쌓이는 악순환
🏢 강남 대형 아파트, 연일 신고가 경신!
반면, 강남3구(강남·서초·송파)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. 특히, 대형 평수 아파트(전용 135㎡ 초과)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짐.
📈 강남 대형 아파트 실거래 사례
- 도곡동 ‘타워팰리스 3차’ 전용 244㎡ → 73억(신고가)
- 대치동 ‘래미안대치팰리스’ 전용 151㎡ → 52억 4000만원(신고가, 2023년 11월)
- 반포동 ‘아크로리버파크’ 전용 164㎡ → 68억(신고가, 2023년 11월)
- 2021년 5월(48억 9000만원) 대비 20억 상승!
📊 KB부동산 전용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
- 강남11개구 대형 아파트(전용 135㎡ 초과) → 107.5(2022년 1월 = 100 기준, 역대 최고치)
- 2023년 5월 99.5에서 20개월 연속 상승!
📢 공인중개업소 반응
- 도곡동 T공인중개사: “설 연휴 이후 타워팰리스 163㎡(60평대)를 찾는 문의가 많아졌다.”
- 대치동 W공인중개사: “래미안대치팰리스 대형 평수는 나오자마자 팔린다. 현재 가장 저렴한 매물은 55억이고, 팔리면 다음 매물은 60억이 될 것.”
📌 분석
1️⃣ 자산가들의 희소성 투자: 공급이 적은 대형 아파트는 부유층의 선호도가 높아 매물이 나오면 빠르게 거래됨
2️⃣ 대출 규제 영향 미미: 현금 자산이 많은 자산가들은 대출 규제의 영향을 덜 받음
3️⃣ 강남 불패 신화: 인프라 및 학군 선호도로 인해 수요가 꾸준함
📊 서울 부동산 양극화 심화! ‘노·도·강’ 하락 vs ‘강남 대형 아파트’ 상승
📉 하락 지역 (‘노·도·강’)
✅ 고금리 부담으로 대출이자 상환 어려운 매도자들이 급매물 내놓음
✅ 매수자들은 추가 하락을 예상하며 관망세 유지
✅ 매물은 쌓이고 거래량은 줄어드는 악순환
📈 상승 지역 (‘강남 대형 아파트’)
✅ 자산가들의 대형 아파트 선호로 매물 부족
✅ 희소성 있는 초고가 아파트는 대출 규제와 무관하게 거래 활발
✅ 신고가 경신이 이어지며 가격 상승 지속
전문가들은 **“소득격차와 대출 규제 등이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”**며, 중저가 아파트의 재고 물량 증가와 대형 아파트의 희소성이 가격 차이를 더욱 벌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
💡 앞으로의 전망은?
- 고금리 지속 시 중저가 아파트는 추가 하락 가능성
- 강남 대형 아파트는 희소성으로 인해 상승 지속 예상
- 시장의 양극화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장훈, 부동산 재산만 700억+! 거주 중인 삼성동 아파트도 ‘3배 상승’ 🏡💰 (0) | 2025.02.08 |
---|---|
서울 청약시장 양극화 심화… 강남은 ‘로또 청약’, 비강남권은 미달 속출 (0) | 2025.02.08 |
🚧 가락동 재건축 훈풍! 중소 단지 변신… ‘송파 新 주거벨트’ 기대감 상승 🚧 (0) | 2025.02.07 |
🏡 1만 3000세대 대규모 아파트촌으로 변신! ‘방배동 재건축’에 관심 집중 (0) | 2025.02.07 |
🎤 엑소 세훈, 25억 전세로 거주 중인 한남동 ‘상월대’… 국내 대표 부촌의 럭셔리 라이프 공개 (1) | 2025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