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목 차 ] |
● 연희동 경매 주택, 어디에 위치했나? |
● 최저입찰가 3억! 그러나 전세 보증금 8억이 문제? |
● 법적 리스크 – 피오 전세권 인수 문제 |
● 향후 경매 시장 전망 – 추가 유찰 가능성 높다 |
● 결론 – 이 경매 물건, 사도 될까? |
아이돌 그룹 블락비 출신 **피오(표지훈)**가 임차한 주택이 경매 시장에 나와 화제입니다. 이 주택은 감정가 대비 51%까지 최저입찰가가 하락했지만, 8억 원의 전세 보증금을 인수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응찰자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경매 물건의 상세 정보, 주의해야 할 점, 법적 이슈, 향후 낙찰 가능성 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.
📍 연희동 경매 주택, 어디에 위치했나?
해당 주택은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하고 있으며, 주변 환경과 교통을 고려했을 때 거주지로서의 가치는 있지만, 투자 관점에서는 다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🏡 주요 입지 및 환경
✔ 주소: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
✔ 규모:
- 토지 109㎡(33평)
- 건물 142㎡(43평)
- 차고·다락·다용도실 포함
✔ 사용승인: 1971년 (51년 차 단독주택)
✔ 교육환경: 연희초등학교, 서연중학교 인근
✔ 자연환경: 안산도시자연공원과 가까움
🚆 교통편
✔ 지하철 홍대입구역(2호선) → 자동차 8분
✔ 지하철 신촌역(2호선) → 자동차 8분
✔ 경의중앙선 가좌역 → 자동차 6분
✔ 버스 및 대중교통 편의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짐
👉 입지는 준수하지만, 서울 중심부와의 접근성을 고려할 때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📉 최저입찰가 3억! 그러나 전세 보증금 8억이 문제?
이 주택은 감정가 6억 203만 원에서 3차례 유찰되면서 최저입찰가가 3억 824만 원까지 하락했습니다.
📌 유찰 내역 및 현재 최저입찰가
✔ 감정가: 6억 203만 원
✔ 3차례 유찰 → 현재 최저입찰가 3억 824만 원 (감정가의 51%)
✔ 4차 매각기일: 2025년 2월 25일 예정
📢 💡 하지만, 3억 원에 낙찰받더라도 8억 원의 전세 보증금을 떠안아야 하므로, 실질적인 낙찰가는 11억 원 이상!
⚖️ 법적 리스크 – 피오 전세권 인수 문제
이 주택의 가장 큰 문제는 전세권이 설정된 상태이며, 낙찰자가 이를 인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.
📌 전세권 관련 주요 사항
✔ 2020년 12월 8일 주식회사케이큐엔터테인먼트가 8억 원 전세권 설정
✔ 이후 2021년 12월 23일 피오에게 전세권 이전
✔ 피오가 최선순위 전세권자
✔ 법원에 배당요구를 하지 않아 낙찰자가 전세금 8억을 인수해야 함
📌 법적 해석 – 낙찰 시 전세금 돌려줘야 할까?
✔ 민사집행법 제91조에 따라 전세권자가 배당요구를 하지 않으면 전세금은 그대로 유지
✔ 즉, 낙찰자는 피오에게 8억 원을 돌려줘야 함
✔ 잔여 존속기간(법정 갱신기간 포함)도 보장해야 함
📢 💡 낙찰자는 경매가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11억 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.
🔮 향후 경매 시장 전망 – 추가 유찰 가능성 높다
전문가들은 해당 물건이 추가 유찰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.
📌 전문가 분석
✔ 2021년 감정가 기준이라 현재 시세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음
✔ 3년 사이 해당 지역의 토지가격 상승이 크지 않아, 최저입찰가도 여전히 부담스러움
✔ 낙찰자가 8억 원의 전세금을 떠안아야 하는 점에서 추가 유찰될 가능성 큼
📢 💡 1~2회 추가 유찰 가능성이 있으며, 경매 참여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📢 결론 – 이 경매 물건, 사도 될까?
✔ 장점
✅ 연희동 소재, 교육 및 자연환경 우수
✅ 감정가 대비 저렴한 최저입찰가(3억 824만 원)
✅ 차고·다락·다용도실 포함
✔ 단점
❌ 8억 원 전세 보증금 인수 부담 → 총 11억 원 이상 실질 낙찰가
❌ 대중교통 이용 불편
❌ 추가 유찰 가능성 높음
📢 💡 투자 목적이라면 리스크가 크므로 신중한 접근 필요!
📌 👉 여러분이라면 이 경매 물건, 낙찰받으시겠습니까? 의견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! 💬😊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🚀 세종시 ‘줍줍’ 청약 등장! 최대 4억 원 시세차익 기대, 전국 누구나 신청 가능! 🎯 (0) | 2025.02.03 |
---|---|
📢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 동향: 집값 보합세 속 전세가율 상승! 갭투자 주의보 🚨 (0) | 2025.02.03 |
공공분양 아파트 청약 전략 – 수도권 3기 신도시 집중 분석 (0) | 2025.02.03 |
서울 아파트 매물 9만 건 육박, 매수심리 ‘꽁꽁’… 관망세 속 어디로 가나? (0) | 2025.02.03 |
2025년, 전셋값 안정 올해가 마지막? ‘초양극화’ 현실화될까 (0) | 2025.02.02 |